농협은행이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지역 농협인지, 중앙 농협인지 궁금해하는 분이 많을 것입니다. 농협이라는 기관 자체가 농민들의 편의를 위한 기관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지역마다 지점이 있고, 새마을금고처럼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헷갈릴만한 부분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단위 농협과 농협 중앙회 차이
단위 농협은 지역 기반 은행입니다. 그리고 농협 중앙회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시중은행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농협은행은 1 금융권, 단위농협은 2 금융권입니다. 2 금융권인 단위 농협이 예금 이자도 높고, 대출 상품의 문턱도 나은 편입니다. 하지만, 지점마다 차이가 있으니 반드시 지점에서 직접 확인하는 편이 좋습니다.
구분 방법
1. 이름
농협이 단위인지 중앙인지 구분하는 첫번째 방법은 은행의 명칭입니다. 농협 중앙회의 NH뱅크는 지점명에 'NH농협은행'이라는 간판이 포함됩니다. 반면 단위농협은 '은행'이 없이 지점 등으로 표시됩니다.
2. 계좌번호
자신이 사용하는 계좌가 농협중앙회인지 확인하려면 계좌번호를 확인해보면 됩니다. 농협중앙회는 계좌번호가 01, 02, 12 또는 301, 302, 312로 시작합니다. 반면 단위 농협은 2 금융권이기 때문에 51, 52, 56 또는 351, 352, 356으로 시작합니다.
지점 찾는 방법
지점을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어플이나 은행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으셔도 됩니다. 간편하게 지도 어플을 열어주고 검색하세요.
단위농협 찾기
단위 농협을 찾으려면 아래와 같이 '단위 농협'을 검색해주시면 됩니다. 네이버 지도, 구글 지도, 카카오맵 모두 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지역 단위의 농협이 전부 표시됩니다. 업소 종류를 보시면 협동, 소비조합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협중앙회 찾기
농협은행으로 찾으려면 지도 어플에 '농협은행'으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업종에 은행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단위농협 검색 결과 차이가 나는 것이 보이시나요?

이상으로 단위농협과, 농협중앙회 지점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지도에 간편하게 검색해서 확인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