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구축 9평 원룸형 오피스텔의 올수리 과정과 비용 그리고 신경 쓰고 봐야 할 점 등, 제가 수리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들과 노하우들을 공유하겠습니다.
우선 제가 진행한 리모델링은 9평 원룸 오피스텔의 올수리 리모델링이었고, 턴키 방식으로 숨고 어플을 통해 토털인테리어 업체 1분과 부가세 별도 11,000,000원에 진행 완료되었고 결과는 만족했습니다.
이 글의 순서
-리모델링 전 오피스텔 상황
-턴키 방식을 선택한 이유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2 - 업체 선정과 견적 상세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2 - 업체 선정과 견적 상세
이 글에서는 9평 원룸 오피스텔의 리모델링과정 중 업체 선정과 자세한 견적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올수리 전 과정을 보시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이 글의 순서 -업체 선정 방법 -견적
2bbw.tistory.com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3 - 도면 작업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3 - 도면 작업
이 글에서는 원룸 오피스텔 올수리 과정 중 도면 작업과 새롭게 공간을 어떻게 계획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리모델링 전체 과정은 아래 글들을 참고해 주세요. 이 글의 순서 -도면 작업 -세부 요
2bbw.tistory.com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4 - 비포 vs 애프터, 총평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4 - 비포 vs 애프터, 총평
이 글에서는 9평 원룸의 전체 리모델링을 마치고 전 후 사진을 비교하면서 어떻게 공사가 마무리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올수리 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
2bbw.tistory.com
오피스텔 스펙 - 리모델링 전
오피스텔은 1998년에 지어진 원룸형이고, 60세대 정도 거주하고 있습니다. 경매로 낙찰을 받아서 내부를 확인해보지 못했지만, 오래된 건물의 대부분의 주인들이 그렇듯이 임대 소득을 목적으로만 하고 제대로 수리하거나 관리, 청소는 진행하지 않은 상태로 쓰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처음 분양받았을 때 상태 그대로, 도배나 장판정도만 진행해서 사용하고 있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또한 현관문은 열쇠였고 그 옛날에 있었던 우유 구멍까지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사진 상에는 잘 안 나오지만 상부 목공 부분이 주저 않아 비스듬하게 기울어 있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싱크대 수전도 벽에서 나오는 방식이었고, 싱크대 장과 벽은 페인트로 덕지덕지 칠해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화장실 문도 페인트로 칠해져 있었고, 현관과 바닥이 모두 동일한 장판으로 깔려 있었습니다. 벽, 천장 상태 어디 하나 성한 곳이 없었죠. 당장 싸게 하면 세를 줄 수도 있었집만, 사실 이런 곳을 세 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화장실 모습입니다. 세면대와 변기가 일체형이고, 아주 옛날 모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탁기도 안에 배치가 되어 있어서 샤워 공간도 확보가 어려웠습니다. 타일은 저 타일이 처음 건물이 지어졌을 때 깔린 타일 같았습니다. 그래서 덧방을 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서 타일은 처음부터 덧방을 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 건물은 특이하게 알루미늄 샷시의 컬러가 레드입니다. 뭐 그럭저럭 괜찮았지만, 중요한 건 에어컨이 창문형이라 방을 냉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도 창을 새로 하고 창 킁네 시트지를 붙일 수 있으면 작업을 진행하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도급 vs 턴키 장단점 - 턴키 선택한 이유
우선 전체 리모델링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철거 > 설비(수도) > (샷시) > 목공 > 전기 > 타일 > 화장실 > 싱크대 > 도배 > 장판 > 시트지 > 조명 > 북박이장
위 순서는 제 오피스텔의 경우에 적용되는 대략적인 순서이고, 현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산은 천만 원 정도 생각하고 있었고, 거기에 추가되는 것까지 감안을 했습니다. 인터넷에서 보니 장판에 시트지, 조명 시공 정도의 수리도 300~400만 원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몇 번의 일부 수리를 진행해 봤을 때 최소 천만 원은 생각해야 나중에 추가 금액이나 원하는 부분 등을 확실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도급과 턴키 방식 중 고민했습니다. 화장실 덧방 300~400, 주방 전체 교체 300~400, 벽지 장판, 기타 수리 300~400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1. 도급
도급 방식은 위에 나와 있는 리모델링 과정 하나하나의 전문가를 불러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철거 업체 따로, 전기 기사님 따로, 목공 기사님, 타일, 주방 설비 전문가를 따로따로 불러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소한으로 부른다고 하더라도 철거, 전기, 목공, 화장실+싱크대+도배+장판 정도로, 최소 3~4팀을 불러 조율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죠.
도급의 최대 장점은 비용입니다. 필요한 부분에 필요한 전문가를 불러서 진행을 하면 그만큼 돈을 아낄 수 있죠. 하지만, 그만큼 매번 사람을 부르고 원하는 바를 말할 때마다 조율하고 설득하고 요구하는 귀찮음이 존재하죠. 만약 제가 이 방법을 사용했다면 100~150만 원 정도 비용이 절약되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2. 턴키
토탈 인테리어라고 불리는데, 대부분의 종합인테리어 업체가 턴키방식으로 전체 수리를 진행해 줍니다. 제가 이 방법을 고려한 이유는 비용 문제뿐 아니라, 전체적인 인테리어의 통일감, 요구사항 전달, 조율 등의 과정을 한 사람과 진행하기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에게는 전문가 한 사람 한 사람 연락을 해서 조율하는 시간이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턴키 방식의 최대 장점은 소통 창구의 일원화로 요구사항의 전달, 체크, 검수 등의 절차를 모두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저는 인테리어에 대한 감각이 뛰어나지 않다고 생각해서, 전체적인 욕실, 주방, 벽지 등의 톤 앤 매너를 전문가가 무난하게 뽑아주기를 기대했습니다. 그래서 도급 말고 턴키 방식으로 일을 진행했습니다.
9평 원룸 오피스텔 리모델링 올수리 과정 2 - 업체 선정과 견적 상세
이 글에서는 9평 원룸 오피스텔의 리모델링과정 중 업체 선정과 자세한 견적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올수리 전 과정을 보시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이 글의 순서 -업체 선정 방법 -견적
2bbw.tistory.com
댓글